선단 철로
"오늘의AI위키"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.
1. 개요
선단 철로는 선양과 단둥을 잇는 철도 노선으로, 총 길이는 277km이며, 39개의 역이 있다. 1904년 러일 전쟁 중 군용 철도로 건설되었으며, 표준궤를 사용하고 전 구간이 전철화되어 있다. 주요 노선은 선양역에서 시작하여 단둥역을 거쳐 압록강을 건너 신의주청년역까지 연결되며, 쑤자툰역~난펀역, 치자바오역~차오허커우역 구간은 복선으로 운영된다. 이 노선은 과거 안펑선으로 불렸으며, 남만주철도에 의해 운영되기도 했다.
더 읽어볼만한 페이지
- 번시시의 교통 - 허다 고속공로
허다 고속공로는 헤이룽장성 허강시에서 랴오닝성 와팡뎬시까지 이어지는 총 연장 1,485.955km의 고속공로로, 중국 동북 지역의 주요 교통망 역할을 수행하며 허강, 자무스, 무단장 등 주요 도시를 연결한다. - 번시시의 교통 - 선단 고속철도
선단 고속철도는 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성 선양과 단둥을 잇는 고속철도로, 2015년 9월 1일에 운행이 시작되었다. - 선양시의 철도 교통 - 선단 고속철도
선단 고속철도는 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성 선양과 단둥을 잇는 고속철도로, 2015년 9월 1일에 운행이 시작되었다. - 선양시의 철도 교통 - 선지 철로
선지 철도는 랴오닝성 선양 역부터 지린성 지린 역까지 446km를 연결하는 철도 노선으로, 1925년 펑하이 철로로 시작하여 여러 노선과 연결되어 총 37개의 역이 있다. - 단둥시의 교통 - 조중우의교
조중우의교는 중화인민공화국 단둥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신의주를 연결하는 압록강 위의 다리로, 1943년에 완공되어 한국 전쟁 중 폭격을 받았지만 수리되어 현재까지 도로와 철도 운송에 사용된다. - 단둥시의 교통 - 허다 고속공로
허다 고속공로는 헤이룽장성 허강시에서 랴오닝성 와팡뎬시까지 이어지는 총 연장 1,485.955km의 고속공로로, 중국 동북 지역의 주요 교통망 역할을 수행하며 허강, 자무스, 무단장 등 주요 도시를 연결한다.
선단 철로 - [철도 노선]에 관한 문서 | |
---|---|
개요 | |
노선 이름 | 선단 철도 |
원래 이름 | (중국어 간체) |
다른 이름 | 안펑선 (; Anpō Line) |
노선 종류 | 일반 철도, 광역 철도 |
상태 | 운영 중 |
위치 | 랴오닝 성 |
기점 | 선양 역 |
종점 | 단둥 역 |
역 수 | 43개 |
개통 | 1905년 12월 3일 |
소유 | 일본 제국 육군 (1905–1906) 남만주 철도 (1906–1945) 중국 창춘 철도 (1945–1955) 중국 철도 (1945–현재) |
노선 길이 (km) | 270 |
궤간 | (1,435 mm) |
이전 궤간 | 762 mm |
노선 정보 | |
![]() | |
주요 역 | |
주요 역 목록 | 선양 역 쑤자툰 역 번시 역 난펀 역 펑황청 역 우룽베이 역 단둥 역 |
노선 연혁 | |
개통 연혁 | 1905년 12월 3일: 개통 |
선로 구성 | |
선로 구성 정보 | 복선 구간: 선양 역 - 난펀 역, 치자바오 역 - 차오허커우 역 |
연결 노선 | |
연결 노선 정보 | 징하 철로 선지 철로 선푸 도시 간 철도 선다 철로 웨이닝 철로 랴오시 철로 시톈 철로 펑상 철로 단다 철로 평의선 강안선 |
국제 연결 | |
국제 연결 정보 | 중국-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경 (압록강, 중조우의교)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 강안선 (신이주청년역 연결)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 평의선 |
2. 노선 정보
총 거리 (km) | 구간 거리 (km) | 역명 | 개업 | 연결 |
---|---|---|---|---|
0 | 0 | 선양역 | 선다 철도, 징하 철도, 선지 철도, 선푸 광역철도 | |
8 | 8 | 훈허역 | 선다 철도 | |
13 | 5 | 수베이역 | 선다 철도 | |
16 | 3 | 쑤자툰역 | 선다 철도, 선푸 광역철도 (2009년 폐쇄) | |
26 | 10 | 선양 자유무역구역역 | ||
36 | 10 | 천샹툰역 | ||
47 | 11 | 야오첸후툰역 | ||
54 | 7 | 와이터우산역 | ||
60 | 6 | 스차오쯔역 | 웨이닝 철도 | |
66 | 6 | 가오자수이역 | ||
73 | 7 | 후오롄자이역 | ||
79 | 6 | 번시후역 | ||
84 | 5 | 번시역 | 랴오시 철도, 웨이닝 철도, 시톈 철도 | |
88 | 4 | 푸진역 | ||
95 | 7 | 차오베이역 | ||
97 | 2 | 차오터우역 | 1905 | |
104 | 7 | 진컹역 | 1904 | |
109 | 5 | 난펀역 | 1905 | |
120 | 11 | 샤마탕역 | 1907 | |
128 | 8 | 량산관역 | 1907 | |
138 | 10 | 치자바오역 | 1911 | |
148 | 10 | 차오허커우역 | 1907 | |
160 | 12 | 퉁위안바오역 | 1904 | |
170 | 10 | 린자타이역 | 1904 | |
176 | 6 | 류자허역 | 1904 | 선단 철도 부설선 |
183 | 7 | 추무좡역 | ||
197 | 14 | 지관산역 | 1904 | |
203 | 6 | 위안자바오역 | ||
208 | 5 | 스타이쯔역 | ||
213 | 5 | 얼타이쯔역 | 1960 | |
217 | 17 | 펑황청역 | 1907 | 펑상 철도, 선단 철도 간선 |
224 | 7 | 장자바오역 | 1934 | |
232 | 8 | 이몐산역 | 1904 | |
238 | 6 | 탕허역 | ||
244 | 6 | 탕산청역 | 1931 | |
253 | 9 | 우룽베이역 | 1907 | |
260 | 7 | 라오구거우역 | 1907 | |
263 | 3 | 진산완역 | 1934 | |
267 | 4 | 하마탕역 | 1907 | |
274 | 7 | 사허전역 | 1907 | |
270 | 7 | 단둥역 | 1904 | |
조중우의교 | 북한-중국 국경 | |||
272.6 | 2.6 | 신의주청년역 | 1904 | 조선국가철도 강안선, 조선국가철도 평의선 |
총 거리 (km) | 구간 거리 (km) | 역명 | 개업 | 연결 |
---|---|---|---|---|
176 | 0 | 류자허역 | 1904 | 선단 철도 간선 |
188 | 8 | 창훙역 | 1942 | |
200 | 12 | 중싱 | 1943 | |
217 | 17 | 펑황청역 | 1907 | 펑상 철도, 선단 철도 간선 |
랴오닝성선양시에서 단둥시에 이르는 총 연장 277km의 철도 노선으로, 선양 철도국에 소속되어 있다. 중국에서 한반도로 향하는 주요 노선 중 하나이다.
3. 연혁
3. 1. 건설 초기
처음에는 안둥 역(지금의 단둥역)과 펑톈 역(지금의 선양역)을 연결하는 경편철도 형태로 개통되었다.[1] 이 노선은 러일 전쟁 동안 일본 제국 육군에 의해 762mm 협궤 철도 노선으로 건설되었다.[1] 이후, 이 노선은 남만주철도 (만철)로 이관되었으며, 두 종착역의 이름을 따서 '''안펑선'''(공식 일본식 명칭은 '''안포선''', 펑톈은 일본어로 ''호텐''으로 발음)으로 명명되었다.[1] 안둥과 펑톈 간 여객 열차의 소요 시간은 이틀이었다.[1]
1904년 (메이지 37년) 11월 3일에는 안동-펑황청 구간, 1905년 (메이지 38년) 2월 11일에는 펑황청-하마당 구간이 개통되었다. 당초 계획에서는 요양에서 동청 철도의 남부 지선과 연결할 예정이었으나, 전황 호전에 의해 연결 지점은 봉천으로 변경되었고, 같은 해 12월 15일에는 하마당-봉천 구간이 완성되어 안동-봉천 구간이 전 구간 개통되었다.
전쟁 종결 후 일본과 중국 간에 체결된 협정에 따라, 1909년 8월부터 협궤에서 표준궤로 개량하는 공사가 시작되어 1911년 10월에 완료되었다.[1] 1911년 11월 1일, 압록강 철교가 완공되어 이 노선과 만철은 조선총독부 철도의 경의선과 연결되었다.[2]
3. 2. 남만주철도 시대
처음에는 안둥역(지금의 단둥역)과 펑톈역(지금의 선양역)을 연결하는 경편철도(輕便鐵道) 형태로 개통되었다.[1] 러일 전쟁 동안 일본 제국 육군에 의해 협궤 철도 노선으로 건설되었으며, 이후 남만주철도(만철)로 이관되어 두 종착역의 이름을 따서 '''안펑선'''(공식 일본식 명칭은 '''안포선''', 펑톈은 일본어로 ''호텐''으로 발음)으로 명명되었다. 안둥과 펑톈 간 여객 열차 소요 시간은 이틀이었다.[1]
1907년 4월 1일, 남만주철도의 영업 개시와 함께 안봉선은 만철에 편입되었다.[1] 1909년 8월부터 일본과 중국 간 협정에 따라 협궤에서 표준궤로 개량하는 공사가 시작되어 1911년 10월에 완료되었다.[1]
1911년 11월 1일, 압록강철교가 완공되어 이 노선과 만철은 조선총독부 철도의 경의선과 신의주역에서 연결되었다.[2] 안포선은 펑톈에서 만철의 랴오-징 선과 연결되었다. 압록강을 건너 안동과 조선의 신의주를 잇는 압록강 철교 개통으로 안봉선은 안동에서는 경의선과, 봉천에서는 만철 본선과 연결되어 조선과 만주를 직결하는 중요 노선이 되었고, 일본의 대륙 진출 발판으로서 큰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.
1944년 9월에 복선화가 완료되었다.[1] 1930년대 및 1940년대에는 부산에서 조선총독부 철도, 만철을 경유하여 신경이나 북경에 이르는 국제 열차가 여러 편 운행되었고, 안봉선은 일본 본토에서 부산을 거쳐 만주와 북경, 더 나아가 시베리아 횡단 철도를 이용하여 유럽까지 이르는 국제 연락 운송의 일부를 담당했다.
3. 3. 제2차 세계대전 이후
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수송량이 감소하여 전 구간이 단선화되고 '선안 선(瀋安線)'으로 개칭되었다.[1] 1965년 안둥 시가 단둥 시로 이름이 변경되어 본선은 '선단 선(瀋丹線)'으로 개칭되었다.
일본의 패전 후, 이 노선은 구 만주국의 영토에 있던 다른 모든 철도 노선과 함께 소련이 통제하는 중국 창춘 철도에 인수되었다. 1955년, 소련은 둥베이의 철도 통제권을 반환했고, 이 노선은 중국 철도의 일부가 되었다. 단선 노선으로의 재건 공사는 1953년에 완료되었으며, 펑톈이 선양으로 개명됨에 따라 선안 철도로 이름이 변경되었다.
현재 수자툰-번시-난펀 구간과 치자바오-차오허커우 구간은 복선화되었지만, 전체 노선의 복선화 공사가 진행 중이다.
2015년, 단둥과 진산완 사이에 새로운 노선이 완공되어 여객 열차가 하마탕과 사허전을 완전히 우회할 수 있게 되었다.[3][4] 이는 또한 선양에서 단둥까지의 거리를 7km 단축시킨다.
4. 역 목록
(1945년까지)
연결 노선 (1945년 이전)
奉天
만철 펑산선, 만철 펑지선, 만철 렌쿄선
만철 렌쿄선, 만철 콘유 연결선
만철 렌쿄선
만철 렌쿄선, 만철 부순선
吴家屯/吳家屯
만철 웨이닝선
만철 랴오시선, 만철 웨이닝선, 만철 시톈선
안포선 부설선
만철 펑상선, 안포선 부설선
조중우의교
朝中友誼橋/조중우의교
신의주 (新義州)
선철 경의선, 선철 신의주 강안선